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선문대학교 SUN MOON University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LOGIN

언어선택

교육과정

디지털영상미디어 전공 이수체계도

1-1학기 1-2학기 2-1학기 2-2학기 3-1학기 3-2학기 4-1학기 4-2학기
커뮤니케이션과 능력개발(TIPS) 광고PR의 이해
(TIPS)
커뮤니케이션이론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영상콘텐츠 기획및연출 미디어 정책론 미디어법과 윤리(CapstoneDesign) 인공지능과 콘텐츠큐레이션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TIPS) 디지털영상 미디어의 이해
(TIPS)
언론사상사 글로벌문화 커뮤니케이션 디지털미디어산업론(창업) 소통과 미디어(PBL) 웹진과 전자출판 제작론 디지털영상 제작 실습
영상언어의 이해와 분석 4차산업혁명과 미디어 빅데이터 스토리텔링 디지털영상 편집과 활용 미디어스타트업(CapstoneDesign) 디지털영상콘텐츠 장르와 포맷
위기관리와 미디어 디지털 영상제작의 기초 인공지능과 데이터저널리즘 포토저널리즘의 이해와 실습 첨단 영상콘텐츠 제작
데이터와 미디어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 발달사 디지털미디어 플랫폼의 이해 인공지능과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카툰과 애니메이션의 이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인공지능활용 영상콘텐츠제작론
전공 필수 전공 선택 한류콘텐츠의 이해

광고홍보콘텐츠 전공 이수체계도

1-1학기 1-2학기 2-1학기 2-2학기 3-1학기 3-2학기 4-1학기 4-2학기
커뮤니케이션과 능력개발 광고PR의 이해 광고로배우는 심리 디지털마케팅 소비자 행동과 빅데이터 마케팅 PR 디지털미디어 플래닝 모션그래픽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디지털영상 미디어의 이해 마케팅기초 광고기획론 광고기획서제작(IPP)(CapstoneDesign) 카피라이팅 OOH 프로모션 헬스커뮤니케이션
PR 작문 (PBL) PR캠페인 기획 광고사진실무 브랜디드콘텐츠 광고PR 창업
AI와 영상디자인 빅데이터 분석 디지털광고 스토리텔링 마케팅전략 사회적책임과 광고PR윤리
광고 PR 조사방법론 (PBL) 영상광고 제작과 편집 광고크리에이티브(CapstoneDesign) 글로벌PR 위기관리 PR (CapstoneDesign)
공공캠페인 (PBL) PR사례연구 (CapstoneDesign)
전공 필수 전공 선택

디지털영상미디어 전공 교육과정

전공 교육과정
1학기 2힉기
구분 이수
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권장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권장
복수 부전공 연계 외국인 복수 부전공 연계 외국인
1학년 전공
필수
커뮤니케이션능력개발(TIPS) 3/3 V V V V 디지털영상미디어의이해(TIPS) V V V V
커뮤니케이션과미디어(TIPS) 3/3 V V V V 광고PR의이해(TIPS) V V V V
2학년 전공
필수
커뮤니케이션이론 3/3 V V V V
전공
선택
언론사상사 3/3 V V V V 스피치커뮤니케이션 3/3 V V V V
영상언어의이해와분석 3/3 V V V V 글로벌문화커뮤니케이션 3/3 V V V V
위기관리와미디어 3/3 V V V V 4차산업혁명과미디어 3/3 V V V V
데이터와미디어리터러시 3/3 V V V V 디지털영상제작의기초 3/3 V V V V
커뮤니케이션발달사 3/3 V V V V
카툰과애니메이션의이해 3/3 V V V V
인공지능활용영상콘텐츠제작론 3/3 V V V V
한류콘텐츠의이해 3/3 V V V V
3학년 전공
선택
영상콘텐츠기획및연출 3/3 V V V V 미디어정책론 3/3 V V V V
디지털미디어산업론(창업) 3/3 V V V V 소통과미디어(PBL) 3/3 V V V V
빅데이터 스토리텔링 3/3 V V V V 디지털영상편집과활용 3/3 V V V V
인공지능과데이터저널리즘 3/3 V V V V 포토저널리즘의이해와실습 3/3 V V V V
디지털미디어플랫폼의이해 3/3 V V V V
빅데이터분석방법론 3/3 V V V V
4학년 전공
선택
미디어법과윤리
(CapstoneDesign)
3/3 V V V V 인공지능과콘텐츠큐레이션 3/3 V V V V
웹진과전자출판제작론 3/3 V V V V 디지털영상제작실습 3/3 V V V V
미디어스타트업
(CapstoneDesign)
3/3 V V V V 디지털영상콘텐츠
장르와포맷
3/3 V V V V
첨단영상콘텐츠제작 3/3 V V V V
인공지능과그래픽커뮤니케이션 3/3 V V V V
지도사항 과목명 변경 또는 학기 변경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 디지털미디어플랫폼의이해
멀티미디어제작론 -> 인공지능활용영상콘텐츠제작론
글로벌커뮤니케이션 -> 한류콘텐츠의이해
그래픽커뮤니케이션과인공지능활용 -> 인공지능과그래픽커뮤니케이션
빅테이터와콘텐츠큐레이션 -> 인공지능과콘텐츠큐레이션
4차산업혁명과미디어산업(창엄)-> 디지털미디어산업론(창업)
빅데이터와스토리텔링 -> 빅데이터스토리텔링
빅데이터조사방법 -> 빅데이터분석방법론
데이터저널리즘 -> 인공지능과데이터저널리즘
사운드콘텐츠제작 -> 디지털영상제작의기초 텔레비전장르와포멧 -> 디지털영상콘텐츠장르와포맷

광고홍보콘텐츠 전공 교육과정

전공 교육과정
1학기 2학기
구분 이수
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권장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권장
복수 부전공 연계 외국인 복수 부전공 연계 외국인
1학년 전공
필수
커뮤니케이션능력개발(TIPS) 3/3 V V V V 디지털영상미디어의이해(TIPS) 3/3 V V V V
커뮤니케이션과미디어(TIPS) 3/3 V V V V 광고PR의이해(TIPS) 3/3 V V V V
2학년 전공
선택
광고로배우는심리 3/3 V V V V 디지털마케팅 3/3 V V V V
마케팅기초 3/3 V V V V 광고기획론 3/3 V V V V
PR작문(PBL) 3/3 V V V V PR캠페인기획 3/3 V V V V
AI와영상디자인 3/3 V V V V 빅데이터분석 3/3 V V V V
광고PR조사방법론(PBL) 3/3 V V V V 영상광고제작과편집 3/3 V V V V
공공캠페인(PBL) 3/3 V V V V
3학년 전공
선택
소비자행동과빅데이터 3/3 V V V V 마케팅PR 3/3 V V V V
광고기획서제작(IPP)
(CapstoneDesign)
3/3 V V V V 카피라이팅 3/3 V V V V
디지털광고스토리텔링 3/3 V V V V 브랜디드콘텐츠 3/3 V V V V
광고크리에이티브
(CapstoneDesign)
3/3 V V V V 마케팅전략 3/3 V V V V
PR사례연구 (CapstonDesign) 글로벌PR 3/3 V V V V
4학년 전공
선택
디지털미디어플래닝 3/3 V V V V 모션그래픽 3/3 V V V V
OOH프로모션 3/3 V V V V 헬스커뮤니케이션 3/3 V V V V
광고PR창업 3/3 V V V V
사회적책임과광고PR윤리 3/3 V V V V
위기관리PR (CapstoneDesign) 3/3 V V V V
지도사항 과목명 변경 또는 학기 변경
영상디자인기초 -> AI와영상디자인
영상광고스토리텔링 -> 디지털광고스토리텔링
디지털영상콘텐츠제작 -> 모션그래픽

'2020년 이전' 전공 교육과정

전공 교육과정
구분 이수 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권장 교과목명 학점/ 시간 비고
복수 부전공 연계 외국인 복수 부전공 연계 외국인
학년 학문 기초 신문방송의 이해 3/3 3 3 0
광고PR의 이해 3/3 3 3 0
전공 필수 커뮤니케이션능력개발 3/3 0 0 0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TIPS) 3/3 0 0 0
2학년 전공 필수 커뮤니케이션이론 3/3 0 0 0
전공 선택 영상문화론 3/3 0 0 0 0 스피치커뮤니케이션 3/3 0 0 0
위기관리론 3/3 0 0 0 광고기획론 3/3 0 0 0
마케팅기초 3/3 0 0 0 4차산업혁명과 미디어 3/3 0 0 0
광고와 소비자행동 3/3 0 0 0 커뮤니케이션조사방법론(PBL) 3/3 0 0 0
광고와 소비자행동 3/3 0 0 0 커뮤니케이션조사방법론(PBL) 3/3 0 0 0
광고와 소비자행동 3/3 0 0 0 커뮤니케이션조사방법론(PBL) 3/3 0 0 0
트랙 필수 멀티미디어제작론(미) 3/3 0 0 0
영상제작의이해와실습(방) 3/3 0 0 0
PR작문(광)(PBL) 3/3 0 0 0
3학년 전공 선택 미디어산업과 정책(창업) 3/3 0 0 0 설득커뮤니케이션 3/3 0 0 0
언론사상사 3/3 0 0 0 마케팅PR 3/3 0 0 0
영상광고크리에이티브 (Capstone design) 3/3 0 0 0 글로벌문화커뮤니케이션 3/3 0 0 0
PR세미나 3/3 0 0 0 언론의 역사 3/3 0 0 0
매스컴효과론 3/3 0 0 0 3/3 0 0 0
3/3 0 0 0 3/3 0 0 0
트랙 필수 다큐멘터리제작론(방) 3/3 0 0 0 사진제작과편집(미)
신문제작과 편집(미) 3/3 0 0 0 카피라이팅(광)
PR캠페인(광) 3/3 0 0 0
라디오제작론(방) 3/3 0 0 0
광고기획서제작(Capstone Design)(광) 3/3 0 0 0
4학년 전공 선택 미디어 법과 윤리 (Capstone Design) 3/3 0 0 0 소통과 미디어(PBL) 3/3 0 0 0
광고마케팅창업(창업) 3/3 0 0 0
트랙 필수 잡지출판제작과 편집(미) 3/3 0 0 0 인터넷과1인미디어(창업)(미) 3/3 0 0 0
브랜디드콘텐츠(광) 3/3 0 0 0 텔레비전장르와 포맷(방) 3/3 0 0 0
영상의 구성과 편집(방) 3/3 0 0 0
지도사항 광고PR의 이해와 신문방송의 이해는 학문기초교양으로 편성하여 신입생, 전과, 편입생 반드시 이수 지도

교과목해설


학문기초교양

635002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이해(Pinciples of Digital Visual Media)

  • 미디어의 디지털화 원리와 특성, 전개과정 등을 살펴본다. 프린트 미디어, 오디오 미디어, 그리고 영상 미디어가 어떤 발전과정을 거쳐왔으며, 디지털 기술의 적용을 통해 새롭게 변화되는 양상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또한 미디어의 디지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정책적, 산업적 이슈 등을 살펴본다.
  • This class explores the principles,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media digitization. It delves into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rint media, audio media, and visual media, examining the profound transformations they have undergone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dditionally, the class addresses the sociocultural, policy-related, and industrial issues that arise from the digitization of media.

635001 광고 PR의 이해(Principles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의 주요영역인 광고와 PR에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과 개념을 학습한다. 광고 분야에서는 광고의 기능과 종류, 다양한 표현기법을 살펴보고, PR 관련해서는 미디어를 이용한 PR현상의 개념, 특징, 방법 등을 두루 학습한다. 광고와 PR에 대한 실제 사례를 찾아서 분석하고 토론하는 실습도 병행한다.
  • This class is designed to introduce you to the theories, practices, principles and history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You will study advertising phenomenon , key terms and basic theories.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many kinds of advertising, functions, effects and so on. In addition, you will study PR strategies relating with principles, functions and practices.

전공필수

635026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Introduction to Mass Communication) (TIPS)

  • 커뮤니케이션학의 입문 과정으로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현상들의 개념과 유형, 연구방법 및 역사 등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는 과목이다. 아울러 현대사회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를 도모한다.
  • This is an introduction course specialized on its definitions,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student explores the basic knowledge media's functions and impacts on modern society.

635003 커뮤니케이션능력개발(Communicative Competence)

  • 인간의 모든 행동과 노력의 결실에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녹아 있다. 그런 만큼 개인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복합적 개념으로,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바, 이러한 요소에 대한 학습과 함께 개인의 실천적 노력을 병행한다.
  • This course is aimed at promoting the communication capacity. Communication abilities are composed of many dimensions and factors. So you will study many factors of communication abilities. For example, Self-expression, Self-disclosure, speech ability, emotional ability, nonverbal communication, SNS communications are typical elements of communication ability.

632006 커뮤니케이션 이론(Communication Theory)

  • 본 과목은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이론들이 형성된 배경과 형성과정 및 관련 개념들을 살펴봄으로써 분석하고 개인 혹은 사회에 미치는 효과들을 분석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 This course is aimed to understand the theories about communication phenomenon. By searching the background, making process and the related concepts of every communication theory, we will stud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o individual persons and society analytically.

전공선택

632024 광고와 소비자행동(Advertising & Consumer Behavior)

  • 이 과목은 기업 활동의 주 대상이 되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증진에 목적이 있다.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외적/환경적 요소와 소비자의 개인적/내적인 요소가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광고와 소비자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 This subject is aim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onsumers who are the main target of corporate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some methods will be studied to improve overall understanding of advertising and consumer behavior and to apply it for marketing practices by examining environmental factors of consumer as well as personal factors related to have impact on the process of consumers' decision making.

635004 마케팅기초(Principles of Marketing)

  • 광고는 마케팅의 한 요소이다. 특히 광고기획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전반에 대한 학습이 필수이다. 이 과목은 마케팅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과 함께 다양한 사례를 살펴본다.
  • In order to study advertising, expecially advertising planning, you should study marketing before. Because marketing includes advertising totally. This class will give you the opportunity of understanding marketing theory, strategies and many important terms.

632018 위기관리와 미디어(Media and Crisis Management)

  • 정부나 기업, 우리사회 조직의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해서 깊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즉, 국가위기나 대형 재난발생시 어떻게 대응해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까하는 관점에서 위기발생요소나 재난의 원인 등을 사전에 관리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게 한다. 오늘날 수많은 위기나 재난에 직면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깊게 이해하고자 한다.
  •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fundamentals about how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manage and communicate during crises. Students will be introduced to crisis communications theory, types of crisis, crisis communications plans, and a variety of crisis responses through case studies.

635027 PR작문(PR Writing) (PBL)

  • 본 강의는 앞으로 PR 실무자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PR 작문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실제 보도자료, PR 기획서, 뉴스레터 등 PR 업무에 있어 필요한 작문을 경험하고 그것의 쓰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This is the capstone course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public relations writing.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make students more proficient in the various forms of public relations writing targeted to specific audiences. The course materials include news releases, fact sheets, speeches, feature stories, letters, memoranda, company histories, newsletters and brochures. In the process of studying and practicing writing, we will discuss the role of public relations in organizations.

632016 광고기획론(Advertising Planing)

  • 광고기획론은 장차 광고기획가(Account Executive)를 양성할 목적으로 광고전략을 짜는데 필요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다. 광고기획 과정은 시장과 소비자, 경쟁사와 제품 특성에 대한 다각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참신하면서도 논리적인 광고 전략을 구사하는 것인 만큼 전문적인 학습과 체험이 필요하다.
  • Students will study of essential theories, key concepts/terminology, total process of advertising planning. This class gives you the opportunity of studying theories of advertising planning as well as case studies of advertising planning documents produced by advertising companies. With this process, you can develop the basic capacities of advertising planning and analytic thinking.

635007 4차 산업혁명과 미디어(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edia) (DBL)

  •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초연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인간사회의 근본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4차 산업혁명이후에는 모든 인간들의 활동이 고도화된 네트워크로 통해 연결·집약되어 인공지능과 연계되면서 극도로 효율적인 사회체계를 형성하게 된다. 때문에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것은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새로운 미디어들을 예측·전망하고, 이에 따른 미디어 환경 변화와 정치·경제·사회·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하게 된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영향력을 예측하기 위해 철학/문학/경제/기술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는 학제간 수업으로 진행한다.
  • ‘Web 3.0’ accelerates digital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high-speed networks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digital multimedia service, two-way data service, and so on. All the media is evolving the smart media as like 'smart phone' and 'smart TV'. The objectives of this class are to increase students' abilities to take advantage of smart media,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630034 멀티미디어 제작론(The Practical Training of Multi-Media)

  • 최근 방송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멀티미디어관련 제작실무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전자신문, 인터넷신문, 전자출판과 같은 분야에 대한 실제 제작학습을 통하여 차후 정보화사회 언론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춘다.
  •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broadcast technologies, this course aims to cultivate ability related to multimedia production. Students will keep qualities of future journalists through learning the actual production on the field, such as electronic newspapers, the Internet, newspapers, and electronic publishing.

632022 스피치 커뮤니케이션(Speech Communication)

  •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말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메시지로 만드는 원칙과 더불어,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비언어적 수단의 활용방법을 학습한다.
  • This course focuses on effective speech communication methods. Especially, making his own opinion and emotion into message, and effective message delivering skills with non-verbal symbols are studied in this course.

632079 디지털 영상제작의 기초(Fundamentals of Digital Video Production)

  • 디지털 영상 제작의 기술적 이해와 기본적인 장비 운용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영상 제작을 위한 기초를 다진다. 촬영, 조명 그리고 사운드 녹음을 위한 다양한 장비의 기능과 사용 방법을 익힘으로써 전반적인 영상 제작 기술을 습득하고, 실습을 시행하여 효과적인 작품 제작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provides a hand-on opportunity to learn how to use digital video equipment such as cameras, sound recorders and lighting gear. The goal of the course is for the student to develop the ability to capture great video images and audio, and to be able to edit those two elements together to create a visual work.

632064 PR캠페인(PR Campaign)

  • PR 캠페인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사항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을 다룬다. PR캠페인의 정의와 역할, 발전과정 및 주요 전략이론과 모델 등을 살펴보고 공공 캠페인, 공익광고 등을 포함하는 제반 PR 커뮤니케이션을 캠페인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apply the fundamentals of what has been learned over the course of study in public relations and apply them to design an actual public relations campaign program. Course learning is through lectures, discussions, research, and teamwork.

630069 영상콘텐츠 기획 및 연출(Planning and Directing Visual Content)

  • 영상 매체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다큐멘터리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기획에서부터 자료조사, 인터뷰, 구성안 작성, 촬영과 편집에 이르기까지 다큐멘터리 전체 제작 과정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방송 현장에서 요구하는 영상 제작 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 This course covers all aspects of producing a documentary, including production of a short documentary film. Its purpose is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entire process such as a documentary planning, material survey, interview, preparation of formation draft, filming, and editing. Throughout the course students will acquire practical production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production.

633007 매스컴효과론(The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Effects)

  • 이 강의는 오늘날 현대사회에 미치는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미래 정보사회에서의 변화와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아울러 그러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과 효과에 대해 실제로 분석해본다.
  • This lecture examines diverse theories about the influence of mass communication on contemporary society and looks at the changes and possibilities in the future information society. In addition, based on such theoretical discussion, we analyze the effects and impacts of mass communication on culture and politics of Korean society.

635022 미디어정책론 (Theories of Media Policy) (DBL)

  • 본 강의는 정치적 성격과 산업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 매스 미디어와 최근 도입되고 있는 첨단 디지털 융합 미디어들에 대한 미디어 정책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미디어 정책에 대한 기본 개념들과 이론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라 제기되고 있는 각종 정책 현안들을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한다.
  • This course aim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media policies concerning mass media, which possess both political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newly emerging advanced digital convergence media. It covers fundamental concepts and theories of media policy, and, building on this foundation, approaches various policy issues arising from changes in the media landscape from multiple perspectives

635015 데이터 저널리즘 (Data Journalism)

  • 현대는 다양한 사회 현상이 데이터로 기록되는 시대다. 이에 따라 언론계에서도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해 탐사보도를 수행하는 데이터 저널리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수업은 데이터 저널리즘 실무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이해하고, 개인별, 조별 실습을 통해 실무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습은 주로 구글 뉴스 이니시에이티브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한다.
  • In today’s world, various social phenomena are recorded as data.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data journalism, which utilizes data mining for investigative reporting, is growing in the media industry. This course aims to equip students with the foundational knowledge necessary for data journalism practice and to enhance their practical skills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exercises. The practical sessions are primarily based on materials from the Google News Initiative.

633005 언론사상사(The History of Communication Philosophy)

  • 이 과목은 커뮤니케이션 사상의 중요성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인간 역사상 주요 커뮤니케이션 사상 및 철학을 시대적 상황과 결부하여 분석하여 이해를 도모토록 한다.
  • This course will introduce some of the important philosophical issues involved in communication and media from historical perspective. This topics will guide discussions aimed at investigating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media.

635020 영상광고크리에이티브(Advertising Creative in Motion Pictures)

  • 이 과목은 방송광고 아이디어 기획에서부터 CF제작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학습하고 광고의 효율적인 표현방법 및 전략을 습득하여 향후 실제 광고제작 능력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광고물을 제작하는 데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창의적 광고에 대한 감각과 안목을 비롯하여 광고 크리에이티브 발상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전략과 기법을 공부한다. 국내외 인쇄, 전파광고물, 기타 소셜미디어, 크리에이티브 등 폭넓은 사례를 대상으로 하되 발상 측면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 This course aims to teach various strategies and techniques prerequisite for creative production, ranging from idea planning to CF production. For this purpose, the course is mainly focused on creative thinking by studying various kinds of advertising in motion picture, including contents in online media and social media

635012 글로벌문화커뮤니케이션(Global Culture Communication)

  • 최근 세계화, 지구촌화 시대를 맞이하여 다문화권 간의 공존시대가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이는 상호 이질적인 문화에 대한 이해 및 포용을 전제로 한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이질문화에 대한 이해 및 이들과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This course is designed to ha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global society. Its goals are to help you become more sensitiv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to provide you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will help you interact successfully with people in other culture.

630042 사운드 콘텐츠 제작 (Sound Content Production)

  • 라디오에 대한 매체적, 기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 기획 능력과 프로그램 제작 능력을 함양한다. 최초의 전파매체인 라디오의 매체적 특성과 기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라디오의 편성, 제작, 비평 등을 실습을 통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 Based on a media and technical understanding of radio, this course aims to develop the ability to plan various audio content and enhance skills in program production. This lecture will theoretically analyze the media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radio, and understand the programming, production, and criticism of radio through practical exercises.

632057 마케팅PR(Marketing Public Relation)

  • 뉴스나 이벤트, 그리고 지역사회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마케팅 PR은 이제 새로운 마케팅 미디어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 과목은 공중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마케팅PR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데 목적을 둔다.
  • This course is a capstone design class that enables students to obtain a good knowledge of marketing oriented public relations. In this class, students will learn strategic issues and effective practices of marketing communic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their publics. It is most suitable for either those who wish to pursue a career in marketing, advertising or public relations.

635014 포토저널리즘의 이해와 실습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hotojournalism)

  • 사진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 중에 하나다. 특히 보도 사진은 문자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스마트 미디어가 확산되면서 사진의 역할과 비중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과목은 보도사진의 특성의 기능을 이해하고, 보도사진 제작·편집 능력을 학습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Photograph is one of important measures that conveys message. Especially photo-journalism has a more influence than textual message. It grows weight more and more with spreading smart media recently. This course is ai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photo-journalism. And we exercise production and editing the photo-journalism.

630017 설득커뮤니케이션(The Theory of Persuasive Communication)

  • 선전, 광고, PR현상의 기초이론을 학습하는 과목으로서 심리학적, 사회학적 제반 설득이론들을 바탕으로 설득 메시지의 내용과 수용자 속성들을 연구하여 차후 설득커뮤케이션 영역별 과목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 Review the related psychology theories on persuasive theory and its application into a communication situation in terms of a theory and practice.

635028 소통과 미디어(Communication and Media) (PBL)

  • 이 과목은 커뮤니케이션과 매스 미디어에 관한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이해를 도모토록 한다. 특히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새로운 현상, 최근 이론 및 주요 연구결과들을 학습대상으로 한다. 수강학생들은 반드시 개별 혹은 조별로 자신이 조사 분석한 주제의 연구결과를 제시해야 한다.
  • This course explores various perspectives to understand communication and media deeply. Especially it will discuss about new phenomenons, recent theory, results of research etc. Students are required to present their own works individually or in groups.

632083 카피라이팅(Copywriting)

  • 광고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소인 광고메시지의 구성요소와 카피의 개념, 역할,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카피 메시지 작성의 기본감각을 배양한다. 또한 카피의 발상법과 컨셉 수립과정을 이해하고 단순히 카피라이팅에 그치는 교육이 아니라 크리에이티브 컨셉트 메이킹 능력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각 매체별 광고 카피의 실전연습을 통해 캠페인 전개능력을 배양한다.
  • This subject is for enhancing basic sense by examining constructs of advertising message and meaning, roles, and types of copywriting. It also aims to understand the ways of thinking on copywriting and constructing concepts, which is not only for writing advertising copy but for enlarging the abilities of creative concept-making. Besides, various ways will be sought to improve advertising campaigns by studying practical copywriting according to advertising media.

635025 빅데이터 조사방법론(Big Data Research Methodology) (PBL)

  • 이 수업을 통해 수강생들이 프로그래밍 없이 자연어처리와 의미연결망 분석 기반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직접 수행해봄으로써 뉴스 서비스에서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원하는 주제에 대한 트렌드를 근거 기반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배우기를 기대한다. 과제의 상당 부분을 수업 시간 내 실습을 통해 완료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수업 내용의 수용 정도에 따라 강의 범위를 일부 조정할 수 있다.
  • This course aim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for data utilization in news services by allowing them to directly engage in news big data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ll without the need for programming. Additionally,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how to identify trends on their chosen topics based on evidence derived from big data analysi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assignments will be completed through in-class exercises. The scope of the course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students' grasp of the material.

632063 PR사례연구 (Case studies in PR)

  • 광고홍보학 4학년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하여 홍보를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대한 실무적 이해 및 전문지식을 갖추기 위해 현업 PR전문가를 초청하여 강의를 듣고 향후 홍보분야 진로 모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원어강좌).
  • Public Relations Seminar will acquaint you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field of public relations. You will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of public relations interfacing with society. The class will give you opportunities to expand your scope of understanding public relations in terms of various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In addition, you will also learn how to analyze communication problems in the contemporary and develop public relations programs to solve the problems.

635023 광고기획서제작(Advertising Campaign Proposal Development)

  • 이 과목은 '캡스톤 디자인' 과목으로 진행한다. , 광고업계의 광고 기획 업무를 현장 학습하는 차원에서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여 팀별로 광고 기획서를 제작하여 여러 공모전에 출품하도록 지도한다. 광고업계 취업을 지원하고, 광고 기획자로서 기초 자질을 육성하기 위해 광고 기획자의 실무를 직접 체험하고 학습한다. <광고 기획론> 수업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광고 기획서의 전체 과정을 직접 제작하는 실습 위주로 강의를 전개한다.
  • This course is conducted as a 'Capstone Design' course, where students engage in hands-on learning of advertising planning tasks in the industry. Students will form teams to create advertising campaign proposals and will be guided to submit their work to various competitions. The course aims to support students in securing employment in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to develop foundational skills as advertising planner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Building on the theories learned in the 'Advertising Planning' course, this class focuses on the practical process of creating a comprehensive advertising campaign proposal.

635011 광고 PR 창업(Inaugurative Praxis in Advertising & PR)

  • 광고홍보 분야 창조창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삼은 창업 실무 강좌이다. 창조산업의 핵심이 되는 브랜디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여 창업 준비, 계획, 실전, 평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본 강좌는 1인 창조기업 및 중소기업 창업을 위한 기본 지식과 실무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창업에 대해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를 곁들여 함께 설명한다.
  • This course is prepared for inaugurative Praxis in Advertising & PR as well as subjects related creative industries. It will be mainly focused on so-called ‘Branded contents’ fields and be introduced on the basic knowledge and explanation of 'creative-me company' and small scaled companies with various examples of Inaugurative Praxis for easy understandings.

635024 미디어법과윤리(Mass Media Ethics & Law)

  • 매스미디어의 조직 및 그 운영에 관련된 국내외의 실정법을 토대로 하여 법제적·윤리적인 측면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실제적인 사례들을 고찰한다.
  • Study the traditional theory and contemporary dispute on a social duty and responsibility of media as a social public company, not a private company and occupational ethics, etc. of the press.

635009 디지털 영상편집과 활용 (Digital Video Editing and Application)

  •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1인 제작 시스템에서 필요한 영상 편집 이론과 디지털 편집 프로그램(Adobe Premiere Pro CC)의 활용법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영상 편집 능력을 함양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video editing theories and techniques essential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for one-person production systems. Students will learn to use digital editing software (Adobe Premiere Pro CC) and develop their video editing skills through practical exercises.

635016 웹진 및 전자출판 제작론 (Webzine & Electronic Publishing Production)

  • 전통적인 인쇄매체라고 할 수 있는 잡지와 출판의 특성, 역사, 현황 및 미래전망을 살펴본다. 아울러 잡지출판과 관련된 제작기법, 편집, 취재, 발행 과정 등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최근 전자매체의 발달에 힘입은 전자출판과 같은 미래지향적인 잡지출판영역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둔다.
  • Students in this interest area gain hands-on experience in macro-editing: pitching and assigning stories, writing display type, coordinating photography and art, working with designers, fact checking, proofreading and following a publication through all stages of print or online production. They also focus on the finer aspects of micro-editing: grammar, style, syntax and usage. Classes provide an analysis of the industry and study of innovative techniques and delivery platforms.

632085 미디어 스타트(창업) (Media Startups) (DBL)

  • 이 수업은 캡스톤 디자인(기업연계형) 수업으로 진행한다. 수업에는 로컬크리에이터 대상 미디어 스타트업인 비로컬이 참여한다. 수강생은 비로컬의 '대학생 기자'로서 비로컬의 현직 기자와 동행하여 취재 현장에 참여하고 숏폼 동영상을 제작한다. 노션(Notion), 틱톡(TikTok), 스티비(Stibee) 등 미디어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의 사용법을 익히고, 콘텐츠를 만든다. 수업은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한다.
    This course is conducted as a Capstone Design (Industry Collaboration) class, featuring participation from BeLocal, a media startup focused on local creators. Students will act as 'student reporters' for BeLocal, accompanying professional reporters on assignments and producing short-form videos. They will learn to use tools widely employed in the media startup ecosystem, such as Notion, TikTok, and Stibee, and will create content using these platforms. The course is project-driven, with a strong emphasis on practical application.

635013 브랜디드 콘텐츠(Branded Contents)

  • 브랜디드 콘텐츠는 전통적인 광고 개념이 확대된 것으로, 브랜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브랜드를 하나의 콘텐츠 혹은 엔터테인먼트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PPL(Product Placement)를 비롯하여 스토리텔링, 아트콜라보레이션, 게임,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마케팅 사례 등 다양하다. 이와 관련한 발상과 기획법을 공부함으로써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전공 관련 영역 진출 동기와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This subject is related with ‘branded contents’ which are considered as the enlarged and advanced concept of traditional ‘advertising’. Branded contents are conceptually to make brand or brand communication the content or entertainment, such as product placement(PPL), storytelling, art collaboration, game, and place marketing for consumer experience and engagement. In accordance with this, the subject aims to study various knowhow of planning and creative thinking, thus to improve abilities and motives for those related future advertising fields.

635010 텔레비전 장르와 포맷(Understanding Television Genre and Its Format)

  • 본 강의는 다양한 방송장르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방송계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텔레비전 포맷의 의미와 역사, 추세와 유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직접 프로그램 포맷의 개발을 시도함으로써 차후 방송현업에 진출하여 활동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제공한다.
  • In this lecture, we will look at various broadcasting genres as well as the definitions, history, trends and types of television formats that are increasing in importance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Furthermore, by attempting to develop the program format on its own, it provides a basic foundation for entering into the broadcasting business in the future.

635037 커뮤니케이션 발달사 (History of Communication Development)

  •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발생과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발달 과정을 역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말과 문자의 등장과 인간문명의 시작, 구텐베르크가 연 활자시대, 그리고 과학 혁명과 산업혁명으로 등장한 전화,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과 대중시대의 도래를 역사적 단계별로 이해한다. 또한 20세기 중반 정보혁명과 21세기 인공지능 시대의 첨단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들을 학습하고, 미래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전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historically understand the emergence of human commun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ools. It covers the advent of speech and writing, the beginnings of human civilization, the Gutenberg printing era, and the emergence of the telephone, radio, film, and television during the scientific and industrial revolutions, leading to the mass media age. Additionally, the course explores the information revolution of the mid-20th century and the advanced communication media of the 21st-century artificial intelligence era, while also providing insights into the future of communication.

    635083 첨단 영상콘텐츠 제작 (Advanced Video Contents Production)

  • 다양한 영상콘텐츠 제작 분야에서 항공 촬영을 위해 활발히 활용되는 드론에 관해 알아야 기본 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비행 실습을 통해 드론을 이용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This course provides foundational knowledge about drones, which are actively utilized for aerial filming in various video content production fields. Through flight practice, students will develop the skills necessary to use drones for video shooting.

최근업데이트 : 2025/05/22    sb****

자료관리 : 학부 전체 콘텐츠 관리

담당자 : 손보욱 (디지털영상미디어 전공) / 연락처 : 041-530-2506

자료관리 : 학부 전체 콘텐츠 관리

담당자 : 박한나(광고홍보콘텐츠 전공) / 연락처 : 041-530-2506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